안녕하세요!
지난 금요일, 트럼프의 트위터 및 사우디의 러시아 발언 반박으로 인해 국제 유가 향방이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다음 주 OPEC+ 회원국의 감산 합의가 예상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의 예측은 긍정론/비관론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현재 각 신문사 및 외신들의 의견도 엇갈리고 있는 만큼 오늘은 그 내용들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일단,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지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글을 먼저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이미 대략적인 상황을 알고계신 분들은 바로 본론으로 함께하시죠 ㅎㅎ
https://stock-slipper.tistory.com/41
#2020.04.04 원유 선물 가격 급상승 - 현재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 PART2
안녕하세요~ 오늘도 원유 선물 투자 이야기를 들고 왔습니다. 최신 현황이 업데이트되면 돌아오기로 했는데 예상보다 상황이 급진전되는 분위기어서 투자하신 분들은 크게 수익을 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각박한..
stock-slipper.tistory.com
#트럼프 트윗에 대한 팩트 체크
먼저,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 발언에 대해 팩트 체크를 하겠습니다. 트럼프는 사우디,러시아로 하여금 1,000만 배럴 감산, 많게는 1,500만 배럴의 감산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발언했습니다. 자세히 보면, 이 감산이 하루 기준인지 한 달 기준인지, 1년 기준인지 알 수 없습니다. 기간이 어떻게 정해지느냐에 따라 어마어마한 감산일 수도 있고 별 영향이 없는 감산일 수도 있는 것이죠. 대부분의 분석가들이 이번 달 원유 수요 감소량을 2,000만 배럴 정도로 예측하는 것으로 보아 이번 달 감산을 1,000~1,500만 배럴 감산시키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트럼프는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먼저 전화 통화를 했다고 발표했었는데요. 일부 뉴스에서는 마치 러시아가 이미 합의한 것처럼 보도했지만, 러시아는 대화 의지를 밝혔을 뿐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사우디 역시 OPEC+ 회원국을 제외한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 다른 국가들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조건으로 감산을 고려하겠다고 했구요. 또한, 다른 국가들이 동의할 경우 900만 배럴, 그렇지 않을 경우 200만 배럴 정도의 감산이 적당하다고 본다는 의견을 전달했습니다.
즉, 사우디 외교부의 표현을 빌리자면 현재 보도되고 있는 트럼프의 발언은 일종의 허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트럼프는 미국의 에너지 기업들을 살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해보입니다. OPEC+회의가 6일에서 9일로 연기된 가운데, 미국도 회의에 참석한다면 1000만 배럴의 수준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는 감산에 합의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만약 트럼프의 발언이 허세가 아닌 현실이 된다면 유가 상승, 감산량이 터무니 없다면 기대감이 무너지면서 유가가 오히려 하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기에 각자의 돈을 베팅하는 것입니다.

#사우디가 열받은 이유
러시아와 사우디가 한 달만에 다시 모임을 앞두고 잡음이 생기고 있는데요. 저번 글에서 말씀드린 부분이 '사우디가 대체 왜 저렇게까지 하는지 모르겠다' 였습니다. 하지만 여러 글을 읽다보니 2016년부터 감산을 논의하며 사우디는 실제적으로 감산을 해왔던 반면, 러시아는 명목상으로만 감산을 해온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현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시면, 사우디를 포함한 OPEC회원국(파란색 그래프)은 꾸준히 감산을 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검정색 그래프)는 감산을 거의 하지 않고 있죠. 미국은 얄밉게도 오히려 증산을 하고 있구요. 이런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돌연 러시아가 감산에 동의조차 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당연히 사우디가 열받지 않을까요? 게다가 사우디는 OPEC회원국의 수장이기 때문에 나머지 9개 회원국을 리드해야하는 입장에서 다른 국가들의 저러한 행태를 본다면 참을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가장 낮은 원유 생산단가를 활용해서 사우디의 저력을 보여주려고 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나 감산 합의 실패 후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급격한 원유 수요와 맞물려 국제 유가가 이례적으로 폭락하는 모습을 보였고, 아무도 이를 예측하지 못했기 때문에 생각보다 빨리 다시 협상테이블로 돌아온 것으로 보입니다. 그동안의 치킨 게임보다 훨씬 심각한 손실을 겪을 수 있다는 판단을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이와중에 러시아는 애초에 감산 합의를 거부한 적이 없고, 사우디가 미국의 시장 점유율을 낮추려고 하는 의도였다고 발표하면서 사우디는 격분하고 있습니다.


#감산 합의에 대한 전문가들의 예측
현재 원유 선물 시장은 감산 합의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연일 급격한 상승을 했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꾸준히 하락 의견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 근거는 크게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요.
첫째, 미국이 적극적으로 감산에 합의하지 않는 한 1,000~1,500만 배럴의 감산은 비현실적이다.
둘째, 코로나로 인한 수요 급감으로 인해 합의가 이루어지더라도 원유 가격이 예전으로 돌아갈 순 없을 것이다.
입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이 적극적으로 감산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입니다. 왜냐하면 지난 금요일 미국 셰일 기업들과의 대화로부터 상대방을 설득하기보단 수입 석유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이 오고 갔으며 여태까지 감산을 한 적도 없다는 것입니다. 또한, 러시아가 이번 기회를 통해 경제 제재를 일부 해소하면서 미국에 동의할 것이란 예측에 대해, 미국이 심각한 어려움에 빠져 있는 상태에서 러시아가 잘되는 방향의 정책을 통과시킬 가능성은 낮다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사우디가 이끄는 OPEC 회원국들 역시 이미 경제적 타격을 심하게 받은 터라 여기에서 감산까지 한다는 건 매우 어렵다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어 생각보다 쉽게 감산이 이루어지진 않을 것 같습니다.
코로나 이야기로 인해 전 세계의 원유 저장고가 모두 가득 차는 건 시간 문제라는 것은 대부분 들어 본 뉴스일 것 같아 생략하겠습니다.
#이번 주 투자 의견
사실 선물 시장이든 주식 시장이든 앞으로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이틀 간의 상승도 전문가들의 예측과 정반대였으니까요. 그래서 저의 투자 의견보다는 자신만의 시나리오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러시아와 미국은 감산에 어느 정도 동의한 것 같으니 사우디만 동의하면 감산이 될거다. -> 트럼프가 얘기했던 양만큼 감산이 될까? -> 코로나로 인한 수요 감소가 크니 그정도도 가능할 것 같다. 라고 생각한다면 매수, 사우디가 열받았으니 한 번에 합의하긴 어려울 것 같다.-> 매도 혹은 추가 매수 자제 등으로 이어질 수 있겠죠? ㅎㅎ
현재 WTI 원유 가격은 29달러 부근입니다. 과연 30달러를 돌파할까요?
모두 남은 일요일 잘 보내시고 수익 얻으시길 바랍니다^^
'주식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4.08 원유 선물 투자(ETF,ETN) : 감산 합의 D-1 원유 뉴스 정리 (2) | 2020.04.08 |
---|---|
#2020.04.07 원유 선물 투자(ETF,ETN) : 감산 합의 D-2 사우디 입장은? (2) | 2020.04.07 |
#2020.04.04 원유 선물 가격 급상승 - 현재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 PART2 (2) | 2020.04.04 |
#2020.04.02 원유 선물 가격 급상승 - 현재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 PART1 (0) | 2020.04.02 |
#2020.03.31 원유 선물 투자 : 롤오버 비용 실전편 #1 (6) | 2020.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