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모두들 월요일 코스피장을 궁금해하시면서 주말을 보내셨죠?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ㅎㅎ
그럼 자기 전에 오늘 하루를 정리해볼까요?
#주식 시황 정리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연준의 파격적인 금리 인하 및 양적 완화 소식에도 코스피 및 아시아 증시가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 이제 3~4% 정도는 떨어져도 아무 느낌이 없지만 사실 평소에 비하면 이정도 하락률은 큰 편입니다.
오늘 있었던 뉴스들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금리 인하 결정 : 연준은 기존 예정된 일정보다 빨리 기준 금리를 기존 1.00%~1.25%에서 0.00%~0.25%로 1%포인트 하향 조정 및 7,000억 달러 규모의 양적 완화를 하겠다고 선언하였습니다. 양적 완화는 국채를 매입하여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한다는 의미입니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하면, 미국은 달러를 만들어내는 기축 통화국이기 때문에 달러를 만들어내서 시장에 풀테니 열심히 소비를 해달라라는 뜻입니다. 사실상 제로 금리나 다름 없고 1%포인트씩 금리를 내렸다는 건 그만큼 코로나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는 것을 투자자들에게 알려준 셈입니다.

이렇게 돈을 시장에 마구마구 공급하면 투자가 활발해지면서 주식 시장이 활발해야 합니다. 하지만 지난 주 금요일 코스피 공매도 금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 또 코스피가 1714 포인트까지 -3.2% 하락했습니다. 한 마디로 지금 대책들이 코로나 공포를 밀어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공매도 금지에 대해서도 할 말이 많지만 외국인들의 급격한 매도를 막기 위한 방지하기 위한 한 가지 수단으로써 주가하락을 막기 위한 한 가지 수단이다. 정도만 말씀드리고 일단 넘어가겠습니다.
- 한국 금리 인하 결정 : 한국 은행도 오늘 이미 늦은 감이 많지만 기준 금리를 1.25% → 0.75% 로 0.5% 포인트 인하했습니다. 이정도면 우리가 이름만 들어도 아는 나라들은 거의 제로 금리 상태에 들어갔다고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ㅎㅎ 한국은 사실 미국의 금리 인하 결정을 따라갈 수 밖에 없는데요. 그 이유는 세계 최강의 경제 대국도 경제가 어려워서 돈을 풀어서 구출해내고 있는데 그보다 더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 나라는 타격이 더더더 심할테니 같이 돈 푸는데 동참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아무튼 앞으로라도 빠른 대응을 부탁드립니다.
- 중국 산업생산 급감 : 1∼2월 산업생산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5% 급감했다고 밝혔습니다. 시장이 예상한 1∼2월 산업생산 감소율은 3% 였는데 거의 4배 이상 크게 감소한 것이죠. 귀금속·보석(-41.1%), 자동차(-37%), 가구(-33.5%), 의류(-30.9%), 건축자재(-30.5%), 가전(-30.0%) 등 여러 제품의 소비가 급감했고, 투자 역시 24.5% 급감했다고 합니다. 실업률은 어떨까요? 도시 실업률도 6.2%로 높아졌다고 하네요. 코로나의 타격이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사실이 조금씩 지표로 밝혀지면서 아마 시장은 계속 요동칠 것으로 보입니다.
- 유럽 코로나 확진자 수 급증 : 이제 중국에서 발생한 총 확진자 수를 그 외 국가들이 추월했습니다. 유럽 증시는 아시아 증시보다 더 큰 타격을 받고 있어요ㅠㅠ


- 일본 올림픽 취소 예상 : 일본 내 코로나감염자 숫자는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탑승자를 포함해 1500명을 돌파했다는 뉴스가 있구요. 일본이 국내 감염확산을 억제하는 데 성공한다고 해도 대회를 예정대로 개최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최근 도쿄올림픽이 취소될 경우, 일본 소비 침체와 무역 감소 영향까지 합치면 일본 경제 손실액이 7조8000억엔(약 89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치를 내놨습니다. 정말 어마어마한 손실이죠... 아직 공식 발표가 아닌 논의 단계이지만 일정 연기를 거의 확실해 보입니다.

이탈리아, 스페인 및 미국의 확진자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앞으로의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여러 시나리오를 구상하여 투자 포인트를 잡아야할 것 같습니다.
방금 미국 시장이 개장되었는데요, 시작하자마자 -10%포인트 감소폭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럼 금, 달러 환율은 어떨까요?
먼저, 금 가격은 상승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되어 제로 금리에 가까워지면 은행에 넣어도 이자가 쏠쏠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금 상황은 어떻죠? 주식장은 매일같이 폭락이며 저금리로 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사려고 해도 앞으로 경제 대공황이 발생한다면 거래가 없어질테고 그럼 자연스럽게 집값도 떨어질 것입니다. 물론 지금 상태에서 경제가 회복된다면 저금리에 시장에 풀린 돈이 많기 때문에 부동산이 다시 한 번 급등하겠죠. 그래서 조금이나마 안전 자산인 금으로 유동성이 흐르는 것입니다. 금은 주식과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한 동안은 금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 조심스럽게 예측해봅니다.

달러 환율은 어떨까요? 원래 금리를 인하하고 시장에 돈을 풀면 그만큼 달러가 많아져서 달러의 가치가 떨어져야 하지만 지금은 시장이 위험하다는 생각이 만연해있기 때문에 안전 자산인 달러의 가치가 상승했습니다. 모든 것이 책에서 보는 것과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이 열심히 공부해야 할 기회입니다.

오늘 하루를 정리하면서 저의 생각을 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시장에는 코로나 및 원유 가격 급락의 악재가 겹쳐있습니다. 미국에서 금리를 인하하고 양적 완화를 하겠다는 특효약을 처방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식 시장이 계속해서 하락하는 이유는 두 가지 악재를 모두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코로나는 치료제가 나올 때까지 해결되지 않을 것처럼 보이고, 문제는 원유 가격의 급락에 따른 미국 에너지 기업들의 위기입니다. 보통 양적 완화는 국채와 같이 안전 자산을 국가가 대신 매입하여 돈을 푸는 방식이라면, 이번에는 에너지 기업들의 회사채를 국가에서 매입하여 이 기업들을 살려내야만 한 가지 위험 요소가 약화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러시아와 중동의 싸움이 언제까지 갈지 모르지만 이 싸움도 역대 오일 전쟁을 봤을 때 끝나기 마련이니 그 때까지 살려줘야 된다는 것이죠.
이번 주에는 셰일 가스 및 미국 에너지 기업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하이일드채권에 대한 이야기를 드릴 예정입니다.
하루하루 공부하면서 이제 투자 방향을 정해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음 편히 주무세요^^
'주식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3.18 도쿄 올림픽 개최될까? #2부 (0) | 2020.03.18 |
---|---|
#2020.03.17 도쿄 올림픽 개최될까? #1부 (8) | 2020.03.17 |
#2020.03.15 금리 인하와 채권 수익률의 관계 (0) | 2020.03.15 |
#2020.03.14 코로나 현황 정리 @화이트데이 (5) | 2020.03.14 |
#2020.03.14 금요일 밤 미국 증시가 상승한 이유 (2) | 2020.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