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잘 주무셨나요? 어젯 밤 미국 증시가 1~2%정도 상승한 것을 보고 잠들었는데 아침에 일어나보니 꽤 많이 상승했습니다. 오랜만에 초록색을 보니 반갑네요 ㅎㅎ 그래서 이제 상승장이 시작된 것이냐라는 물음에는 여전히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단순히 어제 왜 증시가 상승했을까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자 다시 노트북을 켜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주말이니 미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간단히만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다음 기사를 나름대로 번역해서 요약 전달드리겠습니다.
먼저, 요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에 대해 국가 비상 사태를 선포하면서 50조 이상의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민주당 의원들과도 합의에 도달하고 있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1주일 안에 140만 개의 진단 키트를 마련하고 그 다음 달까지 500만 개를 마련하고자 하는 계획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누구보다 빠르게 검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아낌없이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는 말과 함께 증시가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한국처럼 드라이브 스루 검사 방식도 이번 주 일요일부터 채용하겠다고 했구요. 아마 이번 주 청문회에서 전염병 센터장이 민주당으로부터 맹공을 받고 나서 발빠르게 대응 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재정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개인사업자들의 세금 납기를 연장해주기로 했습니다. 중소기업들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확인했구요. 또한, 대학생들의 학자금 대출 이자를 당분간 받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에 발표했었던 급여세 인하는 우리 나라처럼 청년들에게 직접적인 돈을 지원하는 방식이 아닌, 노동을 통해 급여를 받는 사람들에 한해 세금 혜택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부담을 줄여주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원래 직업이 없거나 급여를 받지 않는 사람들은 해당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다음 주 중으로 사회적 약자들을 위해 무료 검사 시행 및 실업률 관련 대책, 식량 지원 등의 대책도 논의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아메리카 항공은 이용 가능한 항공기 중 60%만 활용하여 운항을 줄이겠다고 발표하였고 미국인들은 사회적 격리를 스스로 시행하기 시작하면서 식료품을 쓸어 담아 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경각심을 가지게 된 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내용은 아직 법안이 발의됐을 뿐 통과된 것은 아니므로 통과가 되지 않을 경우 오늘 상승분은 바로 반납될 것입니다. 국민들의 건강과 경제의 안정을 위해서라면 반대할 이유는 없어보이긴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아래와 같이 최대한 빨리 법안을 통과시킬 것을 기대한다는 트윗을 남기기도 했구요. 전략적인 트럼프 대통령은 아마 월요일 기자회견을 통해 시장에 간을 보고 좀 더 강력한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자 통 큰 자구책을 마련한 듯 합니다. 역시 사업가 기질이 나타나네요.

해외 소식을 살펴보면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은 G7 국가들의 리더들이 다음 주 월요일 이례적인 영상 회의를 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유럽 지역도 코로나 위험 지역으로 선포하면서 유럽 중앙 은행도 각국으로 하여금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도 좋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미 제로 금리에 머물러있기 때문에 금리를 동결시키고 양적 완화, 즉 돈을 시장에 푸는 방법을 사용한다고 했지만, 더 적극적인 방안을 발표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미국과 붙어 있는 캐나다 역시 미국처럼 0.5% 금리 인하를 단행하였다는 소식이 있었구요.
아무래도 요즘은 국가 단위의 강력한 해결책이 나와야 시장이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여러 번의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예전보다 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스마트해졌기 때문에 웬만한 방안을 가지고 와서는 그들을 움직일 수 없게 된 것이겠지요..ㅎㅎ 어찌 보면 저렇게 통 큰 경제 방안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부럽기도 하네요.
어찌됐든 오늘은 미국 증시가 상승한 이유를 간단하게 살펴보았는데요. 물론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상승하였겠지만 뉴욕타임즈 1면에 실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기사가 있어 같이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았습니다.
주말에는 푹 쉬시고 가족들과 즐거운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주식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3.15 금리 인하와 채권 수익률의 관계 (0) | 2020.03.15 |
---|---|
#2020.03.14 코로나 현황 정리 @화이트데이 (5) | 2020.03.14 |
#2020.03.13 채권의 기본 - 채권투자할 때 조심해야 할 것 (2) | 2020.03.14 |
#2020.03.12 주식 시황 점검 : 코스피 다음 주를 조심하자. (0) | 2020.03.13 |
#2020.03.11 하락의 끝은 어디인가? 이유라도 알고 가자. (0) | 2020.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