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날씨는 좋은데 이 녀석때문에 나가질 못하시죠? 저도 답답한 마음에 코로나가 현재 어떤 상태인지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저는 생물학쪽 지식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전문가들의 분석이나 방송 출연분을 보면서 유의미한 부분을 찾아보았는데요.
최대한 공영 방송(KBS)자료를 인용하는 게 좋을 것 같아 아래 영상을 가져와봤습니다.
영상 제목 : 코로나의 자연적 소멸 시기는?
https://www.youtube.com/watch?v=kkZBKTpTa8M&list=WL&index=2&t=0s
사스, 메르스 때에도 뉴스에서 볼 수 있었던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님이신데요. 성함은 자꾸 들어도 까먹지만 얼굴은 기억을 하고 있어서 영상을 끝까지 보았습니다. ㅎㅎ 역시 저같은 사람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해주시더군요. 11분 짜리 영상이라 집에서 심심하신 분들은 직접 보셔도 되구요, 밖에서 일하시거나 외출중인 분들은 아래 요약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코로나바이러스는 일종의 RNA바이러스로 변이가 잘 일어나는 바이러스 중 하나라고 합니다. RNA가 어떤 건지는 저도 잘 모르지만 저희가 기억해야 할 점은 사스, 메르스, 코로나 모두 RNA바이러스이기 때문에 변종이 많고 세계 보건 기구에서도 우선적으로 백신 및 치료제가 개발되어야 할 목록에 사스, 메르스를 넣어놓고 매년 모니터링을 한다고 하네요. 3가지 바이러스 모두 박쥐에서 유래한 바이러스라고 알려져있는데요. 사스와 메르스의 유사성은 80%, 메르스와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사성은 50% 정도된다고 합니다. 사스도 코로나 바이러스의 일종이라는 점은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셋 중에서 치사율은 메르스가 가장 높았고 전염률은 코로나가 가장 높다고 하는데요.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높으면 전염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치사율이 낮으면 전염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신기하죠?
제가 궁금한 점은 그래서 코로나가 언제쯤 사라지는건데? 요즘 뉴스에 나오는 백신, 치료제 얘기는 뭐가 진실인데? 라는 점이었습니다. 물론 두 가지 모두 답을 얻지 못했지만 치료제는 생각보다 빨리 개발될 수도 있겠다는 희망은 생겼습니다. 그리고 백신과 치료제의 차이점도 궁금했는데요. 이 부분은 교수님이 명쾌하게 답변을 주셨습니다 ㅎㅎ
백신은 주로 예방백신을 이야기하고 예방백신은 건강한 사람에게 주입하여 감염원에 대한 내성을 기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미래에 있을 효용가치보다 현재의 부작용이 크다면 백신을 맞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다구요. 그래서 백신은 부작용을 테스트하기 위해 임상 1,2,3차를 거치며 수백-수천 명에 이르는 사람들로 하여금 검증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개발하는 데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무려 10년 정도는 바라봐야 한다고 하시네요.
반면 치료제는 이미 감염된 사람들로 하여금 낫게 해주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부작용보다는 치료 가능 여부에 따라 사람들이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생각보다 단기간에 개발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이전에 만들어져 있는 치료제 중 가장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을 기반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하니 조금 희망이 생기네요. 최근 치료제 개발에 대한 뉴스가 있어 찾아보니 최소 6개월은 걸린다고 합니다. 올해 안에만 개발되도 대성공 느낌이네요!
코로나 바이러스는 날씨가 추워지거나 더워진다고 해서 받는 영향은 미미하고 집단 생활에서의 전염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집단 활동을 조심하라고 하십니다. 현재 국내 확진자들 중 79.4%가 집단 생활에 의한 감염이라고 해요.
#대한민국과 전세계의 코로나 확산 추이 정리
한국은 저번 주에 비해 확진자 증가 폭이 조금 완화되었습니다. 아마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외출을 자제하고 의료진들의 봉사 및 직업 정신이 빛을 발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아직 안심하기엔 이르지만 계속해서 나라를 위해 헌신해주시는 분들에게 진심어린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앞으로 계속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어서, 전세계 코로나 추이를 보면 누적 확진자 수가 가파르게 치솟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유럽, 미국 등의 검사가 진행되면 진행될수록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일 것이라 생각하구요, 확진자 추이가 확실히 감소세를 보여야 경제 상황도 다시 회복세를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시기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올해 3분기 이후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개인마다 생각은 다르겠지요 ㅎㅎ
오늘 날짜 기준으로 각국의 확진자 수와 사망자 수를 정리해드리고 마무리하겠습니다. 모두 건강 조심하세요^^
<확진자수(사망자수)/완치자수> 치사율 3.72%, 139국 중 9개 국가만 추출
1.중국🇨🇳: 80,824(3,177) / 64,152
2.이탈리아🇮🇹: 17,660(1,266) / 1,439
3.이란🇮🇷: 11,364(514) / 3,529
4.한국🇰🇷: 8,086(72) / 714
5.스페인🇪🇸: 5,232(133) / 193
6.독일🇩🇪: 3,675(8) / 46
7.프랑스🇫🇷: 3,661(79) / 12
8.미국🇺🇸: 2,272(48) / 31
9.일본🇯🇵: 1,422(26) / 363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3.16 주식 시황 및 미래 준비하기 #2 (2) | 2020.03.16 |
---|---|
#2020.03.15 금리 인하와 채권 수익률의 관계 (0) | 2020.03.15 |
#2020.03.14 금요일 밤 미국 증시가 상승한 이유 (2) | 2020.03.14 |
#2020.03.13 채권의 기본 - 채권투자할 때 조심해야 할 것 (2) | 2020.03.14 |
#2020.03.12 주식 시황 점검 : 코스피 다음 주를 조심하자. (0) | 2020.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