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켓랩(RKLB) CEO 피터 벡(Peter Beck)과 재무 분석
본문 바로가기
주식읽기

로켓랩(RKLB) CEO 피터 벡(Peter Beck)과 재무 분석

by 인력거인생 2025. 7. 9.
반응형

오늘은 로켓랩의 CEO인 피터 벡(Peter Beck)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그동안 테슬라를 장기보유하지 못했던 이유 중 하나가 일론머스크에 대한 불안함때문이었기에

큰 돈을 투자를 하기 전에는 꼭 CEO 리스크에 대해 확인하는 편이다.

피터 벡의 성장 배경

피터 벡은 1976년 뉴질랜드에서 태어났고 아버지는 박물관장 겸 보석감정사, 어머니는 교사였다. 어린 시절부터 기계와 기술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고 가족의 BMW 미니(Mini)를 분해해서 터보차저(Turbocharger)를 장착해서 차량의 성능을 개선하는 등 호기심이 많고 실험 정신이 강한 편이었다고 한다. 고등학생 때에는 물로켓 실험에 몰두해서 직접 만든 로켓을 쏘아올리기도 했다. 피터 벡은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자기주도적으로 실험하고 학습하며 창업에 매진했다. 17세에는 뉴질랜드의 대형 가전업체인 피셔앤파이켈에서 도구 및 금형 제작 견습생으로 일하기 시작했고 이곳에서 로켓 바이크, 로켓 스쿠터, 제트팩 등을 만들면서 여러 실험을 계속했다. 이후 정부 산하 연구기관인 인더스트리얼 리서치에서 첨단 복합소재, 초전도체, 스마트 소재 등 고성능 재료 연구에 참여하며 이 때의 경험으로 탄소섬유복합재료를 활용한 로켓을 만들게 된다.

2006년에는 아내의 미국 출장을 따라가서 나사(NASA), 록히드마틴 등 여러 항공우주 관련 기관을 방문하고 민간 로켓 개발자들과 교류하며 영감을 받았지만 나사(NASA) 인턴쉽에 지원했다가 거절당한 뒤, 귀국 후에 로켓랩(Rocket Lab)을 설립하게 된다. 2017년 뉴질랜드 마히아 반도에서 세계 최초의 민간 우주 발사장을 구축해 일렉트론(Electron) 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하고 3D 프린팅을 활용한 엔진을 통해 혁신을 이루었다. 로켓랩은 2025년 1분기 기준 63회 중 59회의 성공적인 발사 기록을 가지고 있고 위성 제조, 재사용 로켓 개발, 중형 발사체 개발 등 연구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피터 벡은 "저렴한 우주 접근성은 세계적으로 정보와 교육, 인터넷 보급 등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피터 벡에 대한 글을 읽다가 인터뷰에서 "로켓 엔진과 추진체의 극한 환경, 물리적인 도전이 너무 재미있고 이 분야의 엔지니어링이 최고" 라고 답변하는 것을 본 적이 있는데 이처럼 한 가지 분야에 몰두하고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일론 머스크와 피터 벡을 비교해볼까?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는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에 몰두했고 12세에 직접 만든 게임을 판매할 정도로 프로그래밍에 재능에 있었다는 점을 기억해보면 서로 비슷한 점이 있다. 어렸을 때부터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몰두했다는 점. 하지만 일론 머스크는 미국의 명문대로 진학했고 피터 벡은 대학에 진학하지 않았다는 점, 피터 벡은 내성적인 성격이지만 일론 머스크는 외향적인 성격이라는 점이 다른 점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두 CEO 모두 민간 우주 산업을 혁신하고 있는 CEO임은 틀림 없다. 뉴욕타임스는 2019년 스페이스엑스 최고 경영자 머스크가 벡을 만난 뒤 팰컨9의 소형 위성 발사 가격을 크게 낮추고, 이는 후발 업체들의 성공을 방해하는 조처였다는 벡의 주장을 최근 소개하기도 했는데 서로 경쟁하면서 더 발전하려고 하는 모습이 부럽기만 할 뿐이다.

로켓랩의 고객사는 누가 있을까?

나사(NASA), SPACE FORCE, DARPA, ASTRO DIGITAL, BLACK SKY, CANON, CAPELLA SPACE, FLEET, NOAA, PLANET, SPACE FLIGHT, SPIRE, TRISEPT, Tyvak, UNSEENLABS

우주, 위성, 발사체, 지구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주요 정부 기관 또는 민간 기업들이다.

로켓랩의 재무(Financial)에 대해

재무 분석이라고 하기엔 거창하지만 매출, 영업이익 등에 대해 알아보자.

▶ Yahoo Finance의 Financial 요약

- 연간매출액 (USD) : 꾸준히 성장 추세

2021 $62,237,000 (약 810억원)
2022 $210,996,000 (약 2,743억원)
2023 $244,593,000 (약 3,179억원)
2024 $436,214,000 (약 5,670억원)
2025(3월 기준) $466,016,000 (약 6,058억원)

- 연간 EPS (USD) : 주당순이익을 뜻하는 EPS는 적자 유지.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는 8월 14일 예정.

2021 -0.56
2022 -0.29
2023 -0.38
2024 -0.38

- 연간 EBIT (USD) : 장사를 해서 실제로 남긴 돈(영업이익)을 뜻하는 EBIT은 적자의 연속임. 흑자까지 냈으면 주식이 이 가격일 수 없다.

2021 -$102,000,000 -1,326억
2022 -$135,000,000 -1,755억
2023 -$178,000,000 -2,314억
2024 -$190,000,000 -2,470억
2025 1분기 -$59,000,000 -767억

▶ 로켓랩 홈페이지의 Financial Report 요약

(1) 2025년 1분기 매출액(Revenue) : 122.6 miliion - 약 1690억원 / 2024년 1분기 대비 32.1% 증가

*매출 증가 이유 : 로켓 발사 횟수 증가(4회 → 5회), 우주시스템 사업(위성 제조 및 부품 판매) 성장, 특히 국방 우주 개발청(SDA)와 위성 제조 계약이 큰 역할을 하였음

*2024년 4분기 (이전 분기)에 비해 매출액 7.4% 감소 이유 : 위성 제조 사업에서 캐나다 우주청(MDA) 프로젝트가 끝나고 미국 국방 우주 개발청(SDA)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매출 구조가 변경

*위성 제조 사업 덕분에 수익성은 좋아졌지만, 로켓 발사 가격이 낮아져서 일부 이익률이 떨어졌다.

* 뉴트론(Neutron) 연구개발 투자 비용 증가 : 아르키메데스 엔진 검증, 연료탱크 시제품 제작, 로켓 구조물 개발

* 영업활동 현금흐름(Operating Cash Flow)가 마이너스 된 이유? 국방우주개발청(SDA)에서 현금이 일정하게 들어오지 않아서, Neutron 개발에 계속 투자하고 관련 부품을 미리 대량으로 구매해서 앞으로 사업을 키울 준비를 하고 있기 때문, 뉴트론과 관련된 시설 및 장비 투자로 인해 자산 구입이 크게 늘었다. 현재는 매출이 줄고 개발비가 늘어나면서 손실이 커진 상황이다.

오늘은 로켓랩의 CEO와 재무제표에 대해 알아보았다.

CEO 리스크는 테슬라보다 낮아보이지만 아직 영업이익 적자의 연속이므로

길게 보고 적립식 투자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다음 글에서는 로켓랩이 꿈꾸는 수직계열화에 대해 알아보아야 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