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스마트 주차 보조 기능 설명 (auto-parking system for the driver)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율주차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초보 운전자나 아직 운전이 미숙한 분들의 가장 큰 고민 거리는 바로 주차가 아닐까 싶습니다.
김여사 주차시리즈만 봐도 알 수 있죠 ㅎㅎ

요즘은 후방주차보조시스템(Parking Assistant System)이 발달하여 사고 발생 건수가 줄어들었다고 하지만 어느 정도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매너 주차나 흠집을 내는 경우가 여전히 많습니다.
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최근 현대자동차에서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RSPA) 기능을 옵션으로 넣어주고 있는데요. Remote Smart Parking Assist 시스템으로 스마트키를 이용하거나 차량 내부에서 손을 대지 않고 자동으로 주차해주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차량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서 주차 공간을 알아서 탐색하고 주차를 위한 안내 문구 및 알림음과 함께 핸들, 변속, 차량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주차 및 출차를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수소연료전지차인 넥소(NEXO)를 기준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차량의 전/후방에 다음과 같이 초음파 센서가 장착되어 있구요. 스마트 주차 기능의 경우, 후진 주차 방식 중 직각 주차와 평행 주차만 지원합니다. 주차하고자 하는 빈 공간은 운전자가 스스로 찾아야 하고, 주차하고자 하는 공간 옆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이 없거나 휴게소에서처럼 사선 방향으로 주차를 해야하는 경우에는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약점이 있습니다.

스마트 주차가 가능한 경우는 아래와 같이 그림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스마트 주차는 차량 내부에서 버튼을 이용하거나 하차 후 스마트키의 버튼을 이용하는 2가지 방식이 있는데요. 스마트키를 이용하는 경우, 보통 운전자가 내려서 차량을 컨트롤하기 때문에 "원격 스마트 주차"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주차의 경우, 직각 주차 및 평행 주차가 가능하고 출차는 평행 출차 및 전/후진이 가능합니다. 전/후진의 경우 원격으로만 가능한데 주로 마트에서 양손에 짐이 가득할 경우 차를 앞으로 조금 빼고 싶을 때 사용하는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단 평행 주차/출차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술력이 많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네요.
하지만 한계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그림에 파란색 차량으로 표시된 부분을 보시면 차량의 위치를 사용설명서에서 제시하는 대로 세팅해야 문제 없이 스마트 주차가 가능합니다. 주차에 자신있는 분들 입장에선 저기까지 했으면 거의 다 한건데 왜 스마트 주차를 사용하지? 라는 생각이 드시겠죠 ㅎㅎ 사용 조건을 보시면 주차 공간이 직선이어야 하고 옆에 주차된 차량이 꼭 있어야 합니다. 빈 공간일 때에는 아무렇게나 주차해도 되니까 굳이 고려하지 않았던 거겠죠?

기능설명서에서는 스마트 주차 기능을 사용하지 말아야 할 조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니 꼼꼼하게 읽어보시고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기능 지원이 불가하다고 했던 상황에 굳이 이 기능을 사용한다면 문제가 발생해도 책임지지 않습니다.



자 그럼 어떻게 이 스마트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볼까요?
1. 먼저 기어를 D단으로 상태이구요, 차량에 있는 2가지 버튼을 눌러서 주황색 LED가 켜진 상태인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아래 설명처럼 자동차 모양이 있는 버튼은 스마트 주차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때 누르는 버튼이고, 꼬깔 모양의 버튼은 주차 거리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튼입니다. 스마트 주차라 하더라도 주변 물체가 감지되었을 때 삐-삐-삐- 소리를 내서 운전자에게 멈추라는 신호를 보내주는 용도에요.

2. 다음으로 주차하고자 하는 공간을 서서히 탐색합니다. 서서히의 기준은 20km/h 이하입니다. 30km/h이상에서는 주차 공간 탐색 모드가 자동으로 해제되기 때문에 천천히 움직이셔야 차량이 빈 공간을 검색합니다. 그리고 1.5m 이하의 거리를 유지해줘야 합니다. 조건이 까다롭죠?ㅎㅎ 이런 화면이 뜬다면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것입니다.


3. 주차 공간 탐색이 완료되면 알림음과 함께 아래와 같은 문구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차 모양의 양 옆에 4가지 주차 유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그림이 나오는데요. 이 때 원하는 주차 유형을 차량 가운데의 다이얼로 선택하시거나 터치해주시면 됩니다.

4. 이제 마지막으로 스마트 주차를 할 것이냐 원격 스마트 주차를 할 것이냐를 선택해야 합니다. 스마트 주차를 누를 경우, 버튼을 누르고 가만히 기다리시면 되고 브레이크로 차량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원격 스마트 주차는 스마트키를 누를 때 동작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기어를 P단으로 변속하고 차에서 내려 문을 닫으신 다음 주차 버튼을 꾹- 누르시는 동안에 차량이 주차를 시작합니다. 스마트 주차를 하는 동안 가속 페달은 동작하지 않으며 최대 속도를 4km/h 이하로 정해져 있습니다. 주차가 완료되면 완료 메시지가 뜨고 시동을 끄고 도어 Lock을 한 다음 집으로 돌아가면 됩니다 ㅎㅎ

글을 다 쓰고보니 김여사들이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보다 주차를 배우는 게 더 빠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ㅎㅎ
Elon musk가 이야기했던 자율주행 5단계 차량이 판매된다면 자율 주차 기능을 어떻게 구현했을지 궁금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